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전체 형태 고려 청자가마 최초 확인

기사승인 2019.06.17  16:37:12

공유
default_news_ad1

- 유천리 6구역 가마 학술자문회의·현장설명회서 밝혀


부안군 유천리 청자 요지에서 전체 형태의 고려 청자가마가 최초로 확인됐다.
부안군은 발굴조사 중인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학술

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를 17일  발굴현장서 2차례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사적지인 유천리 6구역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 및 보존대책을 수

립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018년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가마와 유물퇴적구의

축조방법과 운영시기 성격 등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문화재청(청장 정재

숙)의 허가를 받아 지난 2월부터 (재)전북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

했다. 
이번에 조사된 유천리 6구역의 가마는 모두 2기인데 구릉 서사면에 등고선과

직교한 방향으로 나란히 축조됐으며 12호 가마는 약 5m 간격으로 비교적 가

깝게 위치해 있다.
가마는 진흙과 석재를 이용해 만든 토축요(土築窯)이며 가마 바닥면에는 원통

형 갑발과 도지미가 불규칙하게 놓여 있다.
가마 2기 중 전체적인 구조가 양호하게 남아있는 1호는 전체길이 25m, 연소

실 길이 1.6m, 소성실 길이 19m이다.
가마 맨 끝부분에서는 석재로 만든 배연시설이 확인되며 배연시설과 맞닿아

있는 마지막 소성실 바닥면에는 여러 점의 초벌 청자가 놓여있다.
1호 가마의 우측(남쪽)에서는 유물퇴적구가 확인되는데 소성실 끝 칸 우측의

유물퇴적구에서는 특히 초벌 청자편이 집중적으로 쌓여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가마온도가 가장 낮은 소성실 끝 칸을 초벌 전용으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으며 현재까지 조사된 고려시대 청자가마에서는 강진 사당리 43호에서

초벌칸이 확인됐으나 초벌칸과 연결된 유물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다량으로

조사된 예는 최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와 비교할 수 있는 예로는 조선시대 15세기 경 분청사기 가마 구

조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가마구조의 발전단계 연구에 있어 6구역 1

호 가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한편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맞은 편 구릉에 위치한 유천리 7구역에서 출토

된 청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접시? 잔?발?완 등의 일상기명이 대

부분이며 무문?압출양각?철백화 기법의 청자가 확인된다.
이를 바탕으로 가마의 운영시기가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 경일 것으로 추

정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번 조사에서 전체형태의 청자가마가 최초 확인된 것이

주요 성과”라며 “이는 학술연구적 가치가 매우 높아 향후 사적지 복원 및 정비

사업 나아가 세계유산 추진에 큰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병우 hojenews@hanmail.net

<저작권자 © 호남제일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