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박용근 도의원, 자율주행시대 선도적 위치 선점해야

기사승인 2023.11.20  18:10:27

공유
default_news_ad1

- 전담 조직 전문인력, 컨트롤타워 부재, 시급히 준비


전북도가 자율주행시대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라북도의회 박용근 의원(장수)은 제405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자율주행 관련한 전담 조직과 전문인력, 컨트롤타워 부재 등 시급히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난해 정부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로드맵 과제 중 하나로 완전자율주행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2025년까지 완전자율주행 버스·셔틀을 추진하고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도입해 대중교통 체계를 자율주행 기반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이다.
현재 군산·익산 등 2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통해 전북은 기술적, 경험적 노하우가 축척되어 있으며 새만금이라는 전국적으로 대표성을 띠는 대규모 시범지구 조성지도 보유하고 있다.
박용근 의원은 “전북은 높은 승용차 분담율과 낮은 대중교통 분담율을 고려할 때, 자율주행과 관련한 기술 및 정책 등을 펼치기에 적격지다”며 “자율주행시대를 위한 우수한 환경임에도 전라북도 행정은 준비되지 않은 모습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율주행과 관련한 사업은 국토부, 과기부, 산자부, 경찰청 등 다부처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다양한 부처와 소통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차원의 컨트롤 타워는 필수”라며“규제 개선 등을 추진하기 위한 전담 조직과 전문인력도 필수이지만 전북도는 이 모두 준비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자율주행과 관련한 사업을 시군에서 산발적으로 대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전북은 광역교통정보센터도 없는 반면 대구, 경기도는 이미 자율주행센터를 설립 운영중에 있으며 제주도는 공항·관광지·호텔을 오가는 자율주행차를 이미 작년부터 운영하며 나아가 수소트램 도입을 검토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이다.
박 의원은 “‘전북형 자율주행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도차원의 컨트롤 타워와 전담조직, 전문인력 확보 그리고 광역교통정보센터를 넘어 광역모빌리티센터 설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2024년 예산안의 R&D 및 SOC 분야에 자율주행 관련 예산을 약 1천억원 편성하는 등 완전자율주행을 미래모빌리티의 핵심 전략기술로 선정하고 육성할 계획이다.

김선균 hojenews@hanmail,net

<저작권자 © 호남제일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